유물13 베트남 하노이의 공자를 기리는 문묘와 국자감 1부 문묘 (꾸옥 뜨 잠)은 하노이 시에서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유물 단지로 , 탕롱 성채 남쪽에 위치해 있습니다.문묘-제국 아카데미의 건축 단지는 반(Van) 호수, 문묘, 제국 아카데미 구역, 잠(Giam)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노이 중심가인 호치민 주석궁과도 가까워걸어서 이동이 가능합니다. 주요 건축물은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 (중국어: 文廟)와 베트남 최초의 대학 인 제국 아카데미 (중국어: 國子監)입니다. 문묘-제국학원은 벽돌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는 5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기 다른 건축 양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오늘은 문묘에 대해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그럼 활기차게 출발~~~~~ 문묘는 리탄통 왕조의 탄부 2년인 1070년 에 지어졌습니다. 대비엣 연대기 전집, 출.. 2025. 2. 17. 베트남 닌빈에 있는 Dinh Tien Hoang 왕의 사원을 가다 2부 어제에 이어 오늘 2부를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0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호아루의 고대 수도는 거의 파괴되었습니다. 현재 호아루 유물에는 약 30개의 기념물이 있으며, 그중 두 가지 대표적인 유물은 딘 왕 사원과 레 왕 사원입니다. 이 지역 주변에는 수천 년 된 고대 사원과 탑이 다소 남아 있습니다. 호아루의 고대 수도에 남아 있는 유적을 감상하고, 당시 베트남의 건축, 예술, 경제, 문화, 사회에 대해 더 많이 배울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선조들을 감상하고, 소박한 농민 왕들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그럼, 출발합니다. 12개의 각 지역의 군벌을 정리하고 세운 딘왕조는 하루도 마음 편할 날이 없었습니다.12세의 어린 왕세자를 죽이는 형제의 난도 있.. 2024. 12. 20. 베트남 닌빈의 호아루 딘&레 사원을 가다 많은 분들이 생소한 베트남의 작은 도시 닌빈에많은 관광객이 왜 몰리는 것일까?하는 궁금증을 갖게 됩니다.과연, 베트남 닌빈에 뭐가 있는 거지?라는궁금증을 갖게 되는데 바로 닌빈에는베트남의 최초 왕국이 있기 때문입니다. 베트남 최초의 왕조인 딘왕조의 수도가 바로 여기닌빈의 호아루라는 고대도시입니다.딘왕조를 거쳐 레왕조 그리고, 또 뒤를 잇는 리왕조이렇게 3대 왕조가 있었던 도시라 역사학적 의미가많다 보니, 볼거리도 많습니다. 그러나, 짧은 왕조로 인한 탓에 각종 문화유산들이많이 유실이 되고 말았는데 제 개인 취향에는그런 것 보다 오히려 아름다운 풍경이 한몫을더해 주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 딘왕조 유물을 탐사하다 만 곳으로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호아루 고대도시는 닌빈 시내와는 떨어진 곳에있으며 이렇게 동네.. 2024. 12. 18. 베트남 다낭의 참 조각 박물관을 가다 베트남 다낭에 있는 참 조각 박물관은 정말다양한 역사를 지닌 박물관입니다.프랑스 식민지였던 시절 국립극동 연구원의문화재국에 의해 만들어진 이상한 박물관이었습니다. 1902년 프랑스 고고학자에 의해 추진되고 1915년 프랑스 건축가에 의해 건축이 되었으며1919년에 드디어 프랑스인에 의해 박물관이 지어졌습니다. 프랑스는 각 나라를 침략해서 각종 보물과유물 그리고, 진귀한 것들을 모조리 찬탈해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하는 참략가였지만무거운 돌조각은 별 흥미가 없었는지는 몰라도결국, 조각 공원이라는 이름하에 전시가되었습니다. 그럼, 황당한 조각공원이었던 참 조각 박물관으로 가 보도록 할까요. " 다낭시 문화체육부"" 다낭 참 조각 박물관 "간판에 적힌 내용인데 우리글로는 아주 간단한데베트남어로는 상당히 긴 .. 2024. 5. 3. 베트남 다낭의 생태 문화와 문화 예술의 공간 동딘 박물관을 찾아서 4부 베트남 유적들을 소개하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만약, 갑자기 유물들과 대화가 가능한 초능력이 나에게 생긴다면 정말 많은 이야기를 사실 그대로 많은 이들에게 전해 줄 수 있을 텐데 하는 상상을 해 보았습니다. 동딘 박물관은 전통가옥을 개조해 만든 개인 소유의 시립 박물관입니다. 숲 속의 박물관을 가 보도록 할까요. 전통가옥을 섹션별로 나누어 각종 생활기구와 공간을 소개하고 있는 숲 속의 박물관입니다. 여기는 화장실이네요. 옛말에 "화장실을 멀리 두어라" 하는 말이 생각납니다. 안내문 동딘 박물관에는 동해 바다와 베트남 지하에 묻혀있던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시대의 생활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고대 유물마다 각 왕조의 분위기를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불라불라.. 나무 조각상이네요. 도.. 2024. 4. 10. 베트남 다낭에 있는 생태 문화와 전통문화와의 만남인 동딘 박물관 2부 베트남은 현재 3개의 자연유산, 5개의 문화유산, 1개의 혼합유산이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후에의 도시들을 한데 아우러 유네스코 단지라 불릴정도로 그들의 문화 유적지는 전통적으로 인정받고있는 추세인데 지난번에는 하롱베이와 깟바 군도가유네스코에 등재가 되어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베트남 유물들이 제대로 발굴도 덜 되어있으며 크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더군요. 그리고, 힘들여 발굴된 유물들도 제대로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합니다. 베트남 보물들을 구입하려면 이런 혼란한 시기가 제격이기는 하지요..ㅎㅎ 오늘도 베트남 다낭에 있는 동딘 박물관 투어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새가 그려진 아름다운 접시네요. 베트남은 흙이 좋아서인지 도자기 문화가 상당히 발달한 나라입니다. 특히, 다낭 옆에 있는.. 2024. 4. 8. 베트남 다낭에 있는 예술 문화의 공간 동딘 박물관을 가다 1부 베트남 다낭에는 다양한 벅물관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정글 숲에 숨어있는 생태공간과 예술 문화의 공간을 같이하는 다소 특이한 박물관이 있어 소개를 합니다. 영흥사를 가다보면 산 허리 중턱에 좌측에 위치한 동딘 박물관은 일반 건축물이 아닌, 전통 가옥에 다양한 생활 유물들을 비치해서 여행객을 한층 여유롭게 만들어 주는 힐링의 장소라고 보시면 맞습니다. 그래서, 여타 다른 박물관과는 사뭇 다른 형태인지라 박물관을 둘러보면서 힐링감도 같이 즐겨 보고 싶으시다면 동딘 박물관을 추천합니다. 아직까지 자세하게 동딘 박물관을 자세하게 소개한 한국 여행객이 없는 것 같아 아마 제가 한국인 최초가 아닌가 합니다. 1부와 2부로 나누어 자세하게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힘차게 출발합니다. 좌측 간판부터 소개.. 2024. 4. 6. 알래스카" 원주민의 전통 유물들 " 알래스카 원주민 유물들이 많이 보존되고 있는 실정은 아닙니다. 그 유물들을 둘러보다 보면 마치, 원시시대의 생활용품 같은 분위기를 많이 풍기고 있습니다. 재미난 건, 지금도 그런 생활용품들을 사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문명이 발달하고 , 세상은 몰라보게 달라졌지만 알래스카 원주민들은 실 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이용하기에 편리하기에 아직도 원시적인 생활용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마치, 사회시간 같아서 보는 재미가 덜할 수도 있는데 잠시나마 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니, 눈요기 감으로 편하게 감상을 하시기 바랍니다. . 이런 작품은 정말 예술이기도 합니다. 직업이 조각하는 이는 아니지만, 고래뼈를 이용해 사실적인 생동감이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답니다. . 알래스카를 미국이 러시아로부.. 2021. 1. 14. 알래스카" ANCHORAGE MUSEUM " 알래스카를 찾는 여행객들이 방문하는 10대 명소중 하나로 꼽히는 곳으로 유명한 ANCHORAGE MUSEUM 은 알래스카의땅과 민족과 문화,예술,역사를 연구하고탐험을 하는데 전념을 하고 있습니다.1968년 개관한 이래 , 매년 전시물을 추가로늘려가면서 주민들과 각종 교감 프로젝트를 실천하고 있습니다..상설 전시물에는 알래스카 역사 갤러리, 알래스카 아트 갤러리, 이매지리륨 디스커버리 센터 (Imaginarium Discovery Center) 과학 갤러리 및 스미소니언 연구소 (Smithsonian Institution)의 장기 대출에 관한 알래스카 원주민 유물을 전시 한 스미소니언 북극 연구 센터 (Smithsonian Arctic Studies Center)가 있습니다..재미난 건 박물관 안내 책자가.. 2019. 3. 27. 알래스카 " 마카인디언 박물관 " Neah Bay 에 있는 Makah Museum 을 들러마카인디언들의 유물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바닷가에 살던 Ozette 바다의 마카인디언 마을은 수천년동안 진흙 속에 묻혀 지내오다가1969년 수백채의 마을 건물들이 갯벌이 노출되면서세상에 그 몹습을 드러내게 되었습니다..등산객이 그 현장을 발견하여 마카인디언에게연락을 취해서 발굴단과 함께 11년간 , 55,00여점의문화재를 발굴 하게 되었습니다.. Makah라는 이름은 Salish 언어로 "음식으로 관대한 사람들"을 의미하는뜻입니다...박물관 건물은 이들의 주거형태인 롱하우스로 지어져 있습니다. . .수천년전 마카부족의 토템이 입구에 들어서니 반겨주고 있었습니다. . .캐나다 벤쿠섬에서 건너온 원주민들이 있기도 합니다.여기서 캐나다와는 아주 가까운.. 2017. 11. 9. 알래스카 "에스키모의 생활용품" 알래스카 원주민은 인디언과 "Inuit" 인 에스키모로대 분류할 수 있습니다.에스키모라는 말은 캐나다 인디언들이 "날고기를먹는 사람들" 이라는 뜻인데, 에스키모인 들은 자신들을 "Inuit"(진짜 사람들) 로 불러주길원하며 공식 명칭으로 "Inuit" 으로 정했습니다..알래스카 항공에서 에스키모라는 말을 사용했다가부랴부랴 사과성명을 발표한 적이 있었습니다..그런데, 워낙 오랫동안 에스키모로 불리워서 이제는무덤덤 하기조차 합니다.그리고, 재미난건 올림픽이 매년 열리는데 그 올림픽 제목이 Eskimo & Indian 올림픽으로명명되어 치러지고 있으니 , 에스키모라고 칭한다고 해서 크게 어긋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한인들은 은어로 끼모라고들 합니다.오늘은 그들의 전통 생활용품을 소개 하도록 하겠습니다..약 .. 2016. 11. 1. 알래스카 " 원주민의 유물들" 알래스카 원주민 유물들이 많이 보존되고 있는 실정은 아닙니다. 그 유물들을 둘러보다보면 마치, 원시시대의 생활용품같은 분위기를 많이 풍기고 있습니다. 재미난건, 지금도 그런 생활용품들을 사용하고 있다는겁니다. 문명이 발달하고 , 세상은 몰라보게 달라졌지만 알래스카원주민들은 실 생활에서 쉽게 구할수 있고 이용하기에편리하기에 아직도 원시적인 생활용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마치, 사회시간 같아서 보는 재미가 덜할수도 있는데 잠시나마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니, 눈요기 감으로편하게 감상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작품은 정말 예술이기도 합니다.직업이 조각하는이는 아니지만, 고래뼈를 이용해 사실적인 생동감이확연하게 드러나고 있답니다. .알래스카를 미국이 러시아로부터 720만불에 사들이고 나.. 2015. 12. 23. 이전 1 2 다음